11월 24일 한국은행의 금융통화위원회가 금리를 0.25%p를 인상했습니다. 그래서 이제 우리의 기준금리는 3.25%가 되었습니다.
금리가 오르면 주가는 떨어지고, 좋을 것이 하나 없을 것 같은데... 왜 금리를 올릴까요?
금리 인상의 이유

오늘 금리를 0.25%p 올리면서 올해만 금리를 여섯번이나 올렸네요. 이로 인해 올 초만해도 1.25%에 불과했던 기준금리가 3.25%가 되었고요.
근데 한국은행은 왜 이렇게 금리를 올리고 있을까요?
1. 자본 유출을 막아라
미국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으로 인해 한미 기준금리가 역전되었죠. 이런 상황이라면, 당연히 미국에 투자하는 게 좋죠. 미국에 투자하면 더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으니까요.
미국이 이렇게 금리를 올리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은행이 금리를 올리지 않으면, 한국과 미국의 금리 차이는 더 커질 것이고, 이러다가는 외국 자본이 유출될 수 밖에 없겠죠.
자본이 미국으로 유출된다는 건, 원화를 팔고 달러화를 사게되는 거죠. 그럼 원·달러 환율이 더 높아질 수 있어요(원화 약세).
2. 물가를 안정시켜라
한국은행의 가장 큰 목표 중 하나는 물가 안정이라고 해요. 이 물가 안정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결정하고 있는데, 그 중 하나가 바로 금리 인상인거죠.
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물가가 많이 올랐죠. 그래서 한국은행은 금리를 계속 인상할 수 밖에 없는 거죠. 금리 인상으로 이자 부담이 커지면 소비나 투자를 줄이게 되겠죠. 소비, 투자가 줄면 물가는 떨어질 것이고요. 이런 긴축 정책을 통해 물가를 안정시키고자 하는 거죠.
왜 한국은행에서 이렇게 금리를 인상하는지 알겠죠?
물론 가계대출 이자 부담, 경기 위축, 금융시장 불안과 같은 금리 인상의 부작용도 있어요. 하지만 금리 인상을 하지 않으면 이런 부작용보다 잃는 것이 더 많을테니 금리를 인상할 수 밖에 없는 거죠.
※ 알아두면 도움되는 정책들
'백과사전 > 금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토스뱅크카드 해외주식 캐시백 이벤트, 5000원 이상 결제하고 해외주식 캐시백 받으세요 (0) | 2022.11.25 |
---|---|
온누리상품권 앱 사용방법 (충전, 혜택, 사용처 검색) (0) | 2022.11.24 |
케이뱅크에서 요기요 할인쿠폰 받으세요 (0) | 2022.11.23 |
주택담보대출 비교는 뱅크샐러드 앱으로 해결하세요 (0) | 2022.11.23 |
케이뱅크 아파트담보대출·전세대출 금리 인하, 얼마나 내렸을까? (0) | 2022.11.22 |